대학의 계급 재생산과 지방대학의 폐과
언어의 계급성 바실 번스타인은 중간계급과 노동자 계급의 5살 난 유아의 말을 비교해, 전자는 정교한 묘사를 후자는 모호한 묘사를 구현한다고 분석하고, 이런 사회계급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달리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이분법적 논의 전개와 미미한 사례 제시 등에서 논리의 비약이 느껴졌지만, 일견 타당해 보인다. 번스타인이 예로 한 사례에서 영화 『황산벌』이 생각났다. 신라군은 백제군의 거시기라는 말을 해석하지 못해 고전한다. 영화에서 신라군의 언어는 당나라 연합군과 외교적 언어를 사용하며, 위계적이라면, 백제군은 거시기로 대표되는 사투리를 사용하며, 인간적 면모를 보인다. 영화는 역사처럼 신라군의 승리로 끝나지만, 패잔 한 백제군이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를 상봉하는 장면에서, 거시기라는 용어는 엘리트 언..
202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