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건곤(3)
-
밸런타인데이와 초콜릿
현대 여성의 악취미 1938년 『삼천리』 8월호에 초콜릿에 대한 재미있는 기사가 실려 있다. 당시 유명인사 여러 명에게 각각 “현대 여성의 악취미”에 대해 의뢰해 기록해놓았는데 그중 첫 번째가 이화고보의 김창제 교수의 글이다. “첫 번째가 활동사진(이건 영화를 뜻하고), 두 번째가 초코레트, 세 번째가 머리 지지기, 입술 칠하기라” 후대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생활방식과 환경에 따라 취미가 변하기에 선악을 말할 수 없지만, 막연하게 일시적으로 느낀 바를 쓴다”라고 덧붙였다. 아리송한 일본인 의식 1974년 2월 1일 자 『경향신문』에서 “서양에서는 2월 14일 ‘사랑의 날’ 즉 ‘밸런타인데이’라고 하여 큐핏을 상징한 그림이나 감상적인 시구, 때로는 풍자화 등을 그린 카드를 익명으로 ..
2021.11.12 -
일제강점기 요요 광고
1933년 개벽사에서 발행한 잡지 『별건곤』에 나온 요요 광고입니다. '전 세계 압도적 유행'이란 문구도 보이고요. '신기하고 재미있는 장난감 요-요-' 밑에는 '대리점 모집' 한다는 문구도 있습니다. 좌측에는 상호와 전화번호가 보입니다. 日東商會 電話下谷三三二九番 내용을 보니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에게 좋은 스포츠라고 소개한 뒤 보통용과 경기용 요요를 나누어 값을 소개한 후 타사의 조악한 상품과는 다르다고 써놓았습니다. 당시에도 짝퉁이 있을 만큼 꽤 인기 있는 상품이었나 봅니다.
2021.09.19 -
대금과 임꺽정
우리나라 대표적인 관악기 중에 하나인 대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 기록이 많이 남아있나요? 답: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는 주로 양반들이 연주를 해서 연주한 사람의 심정이 잘 기록되어 있는데요. 피리와 관악기에 대한 기록은 연주자 자신이 자신의 악기에 대해 기록한 내용은 극히 적고, 주로 글을 쓸 줄 아는 문사들이 대금을 연주한 사람에 대한 기록을 합니다. 문: 그러고 보면 악기를 연주한 사람에 따라 신분의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거문고는 선비, 대금이나 피리는 검객이나, 방랑자가 떠올라요. 답: 신분제 사회에서는 악기로 신분적 차이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관악기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어야 되니까 폼이 안 나는데, 현악기는 멋지게 폼을 잡을 수 있는 특징이 있지요. 문: 그런 차이점이 있군요...
202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