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어우야담3

장구? 장고? 오늘은 타악기인 장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 잘 안다 생각하지만, 실은 잘 모르는 타악기가 장구인 것 같아요. 답: 그렇죠. 누구나 두드리며 연주할 수 있지만, 제대로 연주하기 어려운 악기이기도 하고요. 남이 연주하면 시끄럽고, 내가 연주하면 신나는 타악기죠. 무용가 최승희는 선율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장구 소리를 꺼려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문: 그런데, 장구가 맞나요? 장고가 맞나요? 답: 장고는 『악학궤범』에서 지팡이 장(杖), 북 고(鼓)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또, 장구는 노루 장(獐) 자에 개 구(狗) 자를 쓰는 한자로 표기해서 장구에 사용한 가죽으로 풀이하기도 하지만, 현행 ‘장구’는 한자어가 아니라, 순 우리말로 보고 있습니다. 장구와 장고 모두 표준말로 알고 있는데요. 표준어 .. 2021. 6. 19.
대금과 임꺽정 우리나라 대표적인 관악기 중에 하나인 대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 기록이 많이 남아있나요? 답: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는 주로 양반들이 연주를 해서 연주한 사람의 심정이 잘 기록되어 있는데요. 피리와 관악기에 대한 기록은 연주자 자신이 자신의 악기에 대해 기록한 내용은 극히 적고, 주로 글을 쓸 줄 아는 문사들이 대금을 연주한 사람에 대한 기록을 합니다. 문: 그러고 보면 악기를 연주한 사람에 따라 신분의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거문고는 선비, 대금이나 피리는 검객이나, 방랑자가 떠올라요. 답: 신분제 사회에서는 악기로 신분적 차이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관악기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어야 되니까 폼이 안 나는데, 현악기는 멋지게 폼을 잡을 수 있는 특징이 있지요. 문: 그런 차이점이 있군요... 2021. 5. 19.
현대적 악기 아쟁 해금에 대한 이야기를 전에 말씀드리면서, 해금이 우리음악에서는 관악기로 분류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쟁 역시 찰현악기지만, 관악기처럼 지속음을 내는 성격 때문에 우리음악에서는 관악기로 분류가 됩니다. 아쟁은 크게 정악아쟁과 산조아쟁으로 나뉘어집니다. 문: 정악아쟁과 산조아쟁 어떻게 다른가요? 답: 사실 정악아쟁, 산조아쟁이란 용어는 194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용어로 추측이 됩니다. 1940년대에 산조아쟁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용어인데, 정악아쟁이라 불리어 지는 아쟁은 7줄로 이루어져 있고, 고려 때 중국에서 수입한 악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대나무를 매끈하게 다듬고 송진을 발라서 연주를 했는데, 현재는 개나리가지에 송진을 발라서 연주를 합니다. 문: 산조아쟁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 답: 산조.. 2021. 5.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