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3)
-
장구? 장고?
오늘은 타악기인 장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 잘 안다 생각하지만, 실은 잘 모르는 타악기가 장구인 것 같아요. 답: 그렇죠. 누구나 두드리며 연주할 수 있지만, 제대로 연주하기 어려운 악기이기도 하고요. 남이 연주하면 시끄럽고, 내가 연주하면 신나는 타악기죠. 무용가 최승희는 선율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장구 소리를 꺼려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문: 그런데, 장구가 맞나요? 장고가 맞나요? 답: 장고는 『악학궤범』에서 지팡이 장(杖), 북 고(鼓)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또, 장구는 노루 장(獐) 자에 개 구(狗) 자를 쓰는 한자로 표기해서 장구에 사용한 가죽으로 풀이하기도 하지만, 현행 ‘장구’는 한자어가 아니라, 순 우리말로 보고 있습니다. 장구와 장고 모두 표준말로 알고 있는데요. 표준어 ..
2021.06.19 -
대금과 임꺽정
우리나라 대표적인 관악기 중에 하나인 대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 기록이 많이 남아있나요? 답: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는 주로 양반들이 연주를 해서 연주한 사람의 심정이 잘 기록되어 있는데요. 피리와 관악기에 대한 기록은 연주자 자신이 자신의 악기에 대해 기록한 내용은 극히 적고, 주로 글을 쓸 줄 아는 문사들이 대금을 연주한 사람에 대한 기록을 합니다. 문: 그러고 보면 악기를 연주한 사람에 따라 신분의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거문고는 선비, 대금이나 피리는 검객이나, 방랑자가 떠올라요. 답: 신분제 사회에서는 악기로 신분적 차이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관악기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어야 되니까 폼이 안 나는데, 현악기는 멋지게 폼을 잡을 수 있는 특징이 있지요. 문: 그런 차이점이 있군요...
2021.05.19 -
현대적 악기 아쟁
해금에 대한 이야기를 전에 말씀드리면서, 해금이 우리음악에서는 관악기로 분류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쟁 역시 찰현악기지만, 관악기처럼 지속음을 내는 성격 때문에 우리음악에서는 관악기로 분류가 됩니다. 아쟁은 크게 정악아쟁과 산조아쟁으로 나뉘어집니다. 문: 정악아쟁과 산조아쟁 어떻게 다른가요? 답: 사실 정악아쟁, 산조아쟁이란 용어는 194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용어로 추측이 됩니다. 1940년대에 산조아쟁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용어인데, 정악아쟁이라 불리어 지는 아쟁은 7줄로 이루어져 있고, 고려 때 중국에서 수입한 악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대나무를 매끈하게 다듬고 송진을 발라서 연주를 했는데, 현재는 개나리가지에 송진을 발라서 연주를 합니다. 문: 산조아쟁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 답: 산조..
20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