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훈과 오카리나

by 월간 김창주 2021. 5. 9.
728x90
반응형

  세계 고대 문명의 각지에서 흙으로 만들기도 하고, 나무로 만든 것도 있는 악기입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악기 중에는 기원전 2,000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훈(塤)이 있습니다. 요즘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습니다. 

 

문: 혹시 오카리나 말씀하시나요?

답: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훈이라고 하고, 서양에서는 오카리나라고 부르는 흙으로 만든 피리죠, 훈은 고려 예종 11년(1116) 대성아악이 송에서 들어올 때 다른 악기와 함께 들어왔고, 제작 상태에 따라 음정이 고루 지 못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흙으로 형태를 만들고 굽는 과정 동안 모양이 수축하면서 음정이 변하게 됩니다.

ocarina by Melinda Willis

문: 훈은 어떤 악기인가?

답: 훈은 저울추 모양, 계란모양, 공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쓰는 훈은 저울추 모양에 속한다고 쓰여 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홍시 같이 생겼습니다.

 

문: 서양 오카리나와 다르게, 둥근 모양인가 보네요?

답: 네, 악학궤범에는 훈은 물과 불이 합한 후에 악기가 되고, 또한 물과 불이 화(和)한(서로 응한) 후에 소리를 이룬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또 “악학궤범에는 훈과 지가 서로 응한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문: 지는 또 뭔가요? 

답: 지는 대나무로 만든 가로로 연주하는 짧은 관악기인데요. 서양의 피콜로처럼 크기가 작습니다. 훈과 지 둘 다 지공을 모두 막았을 때(도)와 열었을 때(시) 똑같은 음이 나는데, 시경에 “형은 훈을 동생을 지를 연주한다”는 구절이 있어서, 형제간의 우애가 좋을 때를 비유했습니다.

 

문: 훈과 지가 형제에 비유되었다 말씀이 재미있는데, 어떤 음악에 연주되나요?

답: 현재 「문묘제례악」에  훈과 지는 악기 편성에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조상들이 지와 훈을 형제에 비유했던 이유를 오카리나를 보면서 느꼈는데요.

 

문: 왜 그렇죠?

답: 일단 생김새를 보면, 서양에서는 처음에 오카리나를 거위 알로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학자도 있는데요. 병에 바람을 넣으면 소리가 나는데, 이런 경우를 상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이탈리아어로 오카는 거위, 오카리나는 작은 거위를 뜻하는데, 알이란 뜻이죠.

 

문: 그러니까 서양의 오카리나의 본래 모습 역시 알 모양이었다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죠, 그런데 현재의 오카리나는 바람을 부는 취구가 위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입에 물고 연주를 해요. 지는 대나무로 만들지만, 취구를 세로로 붙여서 오카리나처럼 튀어나와 있고, 가로로 연주하는데, 재질은 다르지만 모양이 비슷하죠.

 

문: 그러니까 비슷비슷한 훈과 지, 오카리나와 같은 형제라는 말로 들어도 될까요?

답: 알 모양의 훈이 지의 모양처럼 바뀌어서, 지금의 오카리나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게 정확한 음정을 내기 위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 같아요. 한쪽은 성질을 바꿔서 대나무로 만들고, 한쪽은 도자기라는 성질을 그대로 가지고 가는데, 지와 오카리나 역시 형제라는 생각이 들어요. 둘 다 폐관 악기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 훈이 제작 상태에 따라 정확한 음정을 내지 못한다고 하셨는데, 왜 그런가요?

답: 도자기는 구우며 수축하는 특성이 있어서, 처음 제작할 때는 정확한 음정을 내도, 굽고 나면 음정이 변해요. 지금의 오카리나는 19세기 이탈리아 제빵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때 오카리나가 정확한 음정으로 낼 수 있게 발명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28x90

문: 이탈리아의 오카리나는 누가 만들었나요?

답: 근대식 오카리나는 19세기에 이탈리아의 도나티(1836~1925)가 발명했는데, 그 이전에는 로마의 제빵 기술자들이 장난감으로 만들어 시장에 내다 팔아 장난감으로 사용되어 오던 악기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문: 그럼 도나티도 빵을 만드는 사람이었나?

답: 도나티가 13세에 가족이 하는 제빵 일을 돕다가 오카리나를 접한 뒤 이것을 개량하기 위해 연구에 전념했는데, 처음에는 알 모양의 전통적인 오카리나를 만들다가, 17세 때인 1853년에 요즘의 거위(오리) 모양의 정확한 음정을 내는 오카리나를 만들어 냈습니다.

 

문: 오카리나를 요즘에는 취미로도 많이 배우고, 국내에도 전문 연주자들이 많이 있죠?

답: 국내에는 한태주 씨가 유명하죠. 또, 1988년에 방영한 다큐멘터리 「대황하」의 주제곡이 알려지면서 오카리나가 인기를 얻기도 했습니다. 고대 문명발상지인 황하의 다큐멘터리가 제작되면서, 당시 사운드 트랙이 발매가 되기도 했죠.

 

문: 아~ 어떤 곡인지 알 것 같아요.

답: 당시 신문기사를 보면 “오카리나(일명 토적)라는 특수한 악기가 사용되었다~ 작곡가인 소지로는 신비롭고 장엄한 역사 발상지인 황하의 분위기에 맞도록 직접 제작한 오카리나를 사용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오카리나를 선택한 것은 매우 적절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문: 그만큼 중국적인 악기라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죠. 6세기경 중국 수나라가 제정한 칠부기에 보면 중국의 속악에만 훈이 등장을 합니다. 주변국의 악기 편성에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문: 수나라의 칠부기는 뭔가요?

답: 중국 수나라(581~630)의 황제인 문제 양견이 제정한 일곱 가지 춤곡이 칠부기인데요. 여러 나라의 음악을 모아 연주케 한 것인데, 하나씩 소개를 하면요. 서량기(지금의 티베트 북쪽에 있던 서량의 춤곡), 청상기(당시 중국의 속악, 15종의 악기 중 훈과 지가 등장)가 있고요.

 

문: 우리나라 음악은 없나요?

답: 고려기(고구려의 춤곡)가 있습니다. 이외에 천축기(인도), 안국기(지금의 투르키스탄 지방의 춤곡), 구자기(지금의 중앙아시아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에 있던 구자의 춤곡), 문강기(진나라의 탈춤곡) 이렇게 일곱 가지 구성인데요. 후에 구부기, 당나라 때에는 십부기로 늘어납니다.

 

문: 수나라는 왜 칠부기를 만들었을까요?

답: 수나라의 이야기는 진나라(BC 221∼BC 206)와 비교를 하면 재미있는데요. 두 나라 다 중국을 통일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진나라는 춘추전국시대를 통일하고 수나라는 위진남북조시대를 통일했는데, 왕조의 수명은 짧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문: 진나라하면 만리장성 아닌가요?

답: 그렇죠. 진은 만리장성, 수나라는 대운하를 건설하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했고요. 체제를 정비한 공통점이 있는데요. 진은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고 수나라는 과거제도를 만들어서 이후 중국과 유교권의 아시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문: 이게 예술하고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답: 진나라는 다양성을 통일했다면, 수나라의 칠부기, 구부기를 보면 다양성을 포용한 것인데, 이후 수나라의 이러한 성격이 당나라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사실 음악이란 게 익숙하지 않은 외래의 것이면 시끄러울 때가 있는데, 중국은 수나라 때 이미 다양한 음악문화를 수용한 점은 요즘 같은 다문화사회에서 인상적인 모습입니다.

728x90
반응형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적 악기 아쟁  (0) 2021.05.18
해금과 유득공  (0) 2021.05.16
대항해 시대와 포르투갈  (0) 2020.08.30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아프리카  (0) 2020.08.29
7세기 사산왕조 페르시아와 신라 공주의 사랑  (0) 2020.08.28